지역 축제 ‘무조건 취소’가 최선인가

-경제활성화 차원 비대면 개최 등 지역 특성 고려해야

추석연휴가 지나고 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사상 처음으로 3000명을 넘어서는 등 확산세가 거세지자 방역당국이 강원도를 비롯한 전국 자치단체에 지역대면축제 전면 재검토를 요구, 도내에서만 이달부터 연말까지 예정됐던 29개 지역축제 가운데 절반을 조금 넘는 15개 축제가 전면 취소되면서 비대면 개최는 2개, 축소 개최는 3개에 불과한 실정입니다.

주문진오징어잡이축제(강릉)와 △동해무릉제(동해) △오대쌀새끼줄축제·태봉제(철원) △DMZ펀치볼시래기축제(양구) △명태축제(고성) △양양연어축제 등 지역경제 활성화에 크게 기여하고 있는 대표적인 축제 대부분이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개최하지 못하게 된 것입니다.도내에서 개최되는 지역축제 106개 가운데 절반에 육박하는 51개 축제가 코로나의 직격탄을 맞고 있는 것입니다.

축제뿐만 아니라 각종 문화예술행사도 줄줄이 취소되거나 연기됐습니다.지난달 30일 개막한 춘천SF영화제는 개막 이틀 만에 모든 부대행사를 취소하거나 온라인으로 전환했으며 이달 열 예정된 춘천마임축제의 가을 시즌 행사도 모두 연기됐습니다.천주교 춘천교구는 지난 1일 양양성당 일원에서 제13회 38선 디모테오 도보순례 행사를 개최하려다 취소했으며 한국지역출판연대가 춘천에서 개최하려던 한국지역도서전도 내달 12일로 연기됐습니다.

추석 연휴에 이어 개천절과 한글날 연휴가 계속되는 만큼 확진자를 줄이려는 방역당국의 사회적거리두기 강화에 따른 불가피한 결정이라는 점은 충분히 이해됩니다.하지만 ‘무조건 취소’가 과연 ‘최선의 방법인가’라는 의구심을 갖지 않을 수 없습니다.다음달초부터 단계적 일상회복(위드 코로나)을 검토하고 있는 정부가 지역의 가장 큰 행사이자 경제를 살리는 가장 효과적 방식인 축제에 대해 ‘무조건 취소’를 강권하는 것은 행정편의주의 발상이라고 지적하지 않을 수 없습니다.

자치단체들도 방역당국의 권고를 무조건 따르기보다는 지역의 사정과 형편을 고려해 보다 능동적이고 주체적으로 결정해야 합니다.코로나19 여파로 2년째 축제를 개최하지 못하는 경우가 허다한 만큼 행사 취지를 살리면서 방역을 고려한 비대면 개최를 하거나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결합한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등 지역 소상공인들의 어려움을 배려하고 상생하는 정책적 고민이 필요합니다.
강원도민일보 원문보기: http://www.kado.net/news/articleView.html?idxno=10936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