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식
교구사진
교구사진

교구사진

행사제16회 38선 티모테오 길 도보순례

작성자 : 문화홍보국 작성일 : 2024-11-21 조회수 : 147


2024년 10월 9일(수) 10시, 춘천교구 평신도사도직협의회(회장김일환 라파엘이하 평협)가 주최하고 춘천교구 사목국(국장: 조영수 마태오 신부 / 담당수녀: 이옥한 에다나 수녀)이 후원하는 '제16회 38선 티모테오 길 도보순례'가 있었습니다.


이번 도보순례에 참가한 1,400여명의 교구 사제신자들과 수도자타교구 신자들은 양양성당에서 시작해 부소치재까지 약 11km(양양성당/출발 → 군청4거리 → 양양 신교 → 미곡처리장 → 송이벨리공원 → 오상영성원 → 부소치재  → 놀골교차로)의 거리를 함께 걸었습니다신자들은 순례 중 묵주기도를 바치며 6.25전쟁중 북녘에 남은 신자들을 구하기 위해 목숨을 바친 이광재 티모테오 신부 순교를 추모하고춘천교구 근현대 신앙의 증인과 순교자들을 기억했습니다. 특별히 송이벨리공원 입구에서 순례객들을 위한 색소폰 공연으로 순례길을 더욱 빛내줬습니다.


사랑의 길이 되어 떠나신 6.25순교자들을 기억하며 기도 속에서 순교의 정신을 되돌아 본 소중한 시간이었습니다. 찬미받으소서 일환으로 구간에 스티커 투표를 배치하였고, 순례단의 안전을 위해 평단협 임원들이 구간 봉사자로 배정되어 모두 무사히 완주하였습니다. 


점심 식사 후에는 미사가 봉헌되었는데, 춘천주교 김주영 시몬 주교의 주례로 교구 사제와 타교구 사제, 수도회 사제들이 공동집전으로 미사를 봉헌 되었고, 강론은 조영수 마태오 신부(사목국장)가 맡았습니다.


<38선 티모테오 순례길>

순례길은 1945년 8월 15일 해방부터 1950년 6.25전쟁이 발발하기 전까지 신앙과 자유를 찾아 38선을 넘어 남하한 북한 동포들의 도보길입니다. 그들은 이념대립의 소용돌이 속에서 당시 공산치하의 박해를 피해 월남했습니다. 그야말로 <죽음의 38선길>이었습니다. 당시 양양성당(양양읍 성내리 소재)은 38선에서 북으로 약12km정도에 위치하여, 38선에 가장 가까운 성당이었습니다. 그래서 박해를 피해 남하하는 성직자, 수도자들이 그곳을 찾아 도움을 받았습니다. 해방 후, 북한에는 1946년에 소련군이 진주하였습니다. 그들은 양양성당을 무전실로 쓰다가 1948년엔 인민군이 성당을 완전히 장악합니다. 이때부터 북쪽지역의 성직자, 수도자, 평신도들이 양양성당에 찾아와 당시 주임사제였던 이광재(티모테오) 신부님께 38선을 무사히 넘을 수 있게 부탁해오면, 38선 인근 마을 신자를 불러 그네들을 무사히 38선 남쪽까지 넘어갈 수 있도록 안내하셨습니다. 이때 남하한 경로는 여러 곳이지만, 주로 많이 이용한 코스는 고노골(월리), 한구령(용천), 부소치고개(남양리), 한천산 부근, 명지리 안골이었습니다. 양양본당의 제3대 주임사제이던 이광재(티모테오) 신부는 공산당의 삼엄한 감시 속에서도,이들을 안전하게 숨겨주었다가 본당 교우들을 통해 무사히 38선 이남으로 내려갈 수 있도록 도와주었습니다. 많은 위험과 어려움이 따랐지만, 단 한 사람의 낙오자도 없이 무사히 월남시킬 수 있었습니다. 달도 없는 칠흑 같은 그믐밤에 그물처럼 짜여진 38선 보위대 경비초소의 인민군 총부리를 피해서 목숨을 걸고 그들의 등불이 되어주었습니다. 이와 같은 생생한 현장을 체험하며 이광재 티모테오 신부님의 삶을 묵상할 수 있도록, 춘천교구에서는 2009년부터 38선 티모테오 순례길 걷기 행사를 하고 있습니다. 매년 행사일은 티모테오 신부님이 돌아가신10월 9일입니다.

38선 티모테오 순례길 코스
38선 북쪽(양양성당 순교각 출발) ⇢ 남대천 신교 ⇢ 고노골 ⇢ 구탄봉 ⇢ 삼받이재 ⇢ 예수고난회 ⇢ 부소치재⇢ 성글라라 수도원 ⇢ 영복산 ⇢ 38선 남쪽(명지리 안골)



# 사진 추가 예정


2024-10-09 at 10-05-21.jpg 2024-10-09 at 10-15-57.jpg 2024-10-09 at 10-37-27.jpg 2024-10-09 at 11-22-02.jpg 2024-10-09 at 11-30-43.jpg 2024-10-09 at 11-30-52.jpg 2024-10-09 at 11-47-10.jpg 2024-10-09 at 12-26-07.jpg 2024-10-09 at 12-26-18.jpg 2024-10-09 at 14-14-29.jpg 2024-10-09 at 14-15-34.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