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복결정 124위 순교지를 가다
124위 순교 영성 깃든 성지 찾아 순교 신심 키우고 깊이 새겨
2014.04.06 발행 [1259호]
![]() |
|
▲ 하느님의 종 순교자 124위 중 25위(서소문 밖에서 순교했을 것으로 추정되는 조숙ㆍ권천례 동정부부까지 포함하면 27위)가 순교한 서소문 순교성지 현양탑. 평화신문 자료사진 |
![]() |
▲ 지난해 9월 순교자 성월을 맞아 서울대교구에서 이뤄진 주교단 성지순례에서 염수정 추기경이 종로3가역 근처에 자리하고 있던 좌포도청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
![]() |
▲ 지난해 9월 서울대교구 종로성당에 문을 연 포도청 순교자현양관. |
![]() |
▲ 지난 2010년 해미 순교자 현양 문화행사 중 도보 순례에 참가한 평신도 850여 명이 순교자와 포교, 포졸 복장으로 133위의 명정을 들고 고개를 넘고 있다. |
◇대구대교구
△관덕정=김희성(프란치스코)ㆍ구성열(바르바라)ㆍ김사건(안드레아) 등 10위가 참수됐다. 103위 성인 중 이윤일(요한) 성인의 순교지이기도 하다. 대구광역시 중구 관덕정길 11(남산 2동 938-19번지). 문의: 053-254-0151(관덕정순교성지) ▲ 124위 중 김희성(프란치스코)ㆍ구성열(바르바라)ㆍ김사건(안드레아) 등 10위가 참수된 대구대교구 관덕정 순교성지.
◇부산교구
△수영 장대골 순교성지=동래부 동헌은 대부ㆍ대자 관계인 이정식(요한)ㆍ양재헌(마르티노)이 사형선고를 받은 곳으로, 이들은 수영 장대로 끌려가 십자성호를 긋고 칼을 받았다.부산광역시 수영구 광안4동 566(수영 장대골 순교성지). 문의: 051-756-3351(광안성당) ▲ 124위 중 이정식 요한과 양재현 마르티노가 순교한 부산교구 수영 장대골 순교성지. 사진제공=부산교구 홍보국
△울산=허인백(야고보)ㆍ김종륜(루카)ㆍ이양등(베드로)은 울산 장대벌에서 군문효수형을 받아 순교했다. 이 자리에는 3월 15일에 울산병영 순교성지성당이 축성됐고, 매주 월~토요일 오전 11시에 미사를 봉헌한다. 울산광역시 중구 외솔큰길 241(남외동 567). 문의: 052-294-3993(병영성당)
◇청주교구
△청주=청주시 중앙공원 일대에 있는 청주병영은 원시보(야고보)ㆍ배관겸(프란치스코)이 장사한 순교지다. 공원 남쪽에는 청주교구민들이 뜻을 모아 세운 순교자 현양비가 있다. 충북 청주시 상당구 상당로55번길 33(남문로 2가 92-1) 중앙공원 일대. 문의: 043-252-6984(서운동성당)
◇마산교구
△진주옥터=정찬문(안토니오)ㆍ윤봉문(요셉)이 순교한 진주 옥터에는 현재 시장이 들어서 있다. 경남 진주시 진양호로547번길 8-1(대안동 8-600). 문의: 055-741-2442(옥봉성당)
△함안=구한선(타대오)는 석방돼 집으로 돌아왔으나, 고문으로 맞은 장이 화근이 돼 순교했다. 여러 증언을 토대로 찾은 순교자의 유해는 1976년 현재의 가등산 묘역으로 이장했다. 경남 함안군 대산면 고원길(평림리 733-1). 문의: 055-582-8041(대산성당)
△통영='제주의 사도' 김기량(펠릭스 베드로)는 통제영 옥터에서 교수형을 당한 뒤 가슴에 대못이 박혀 순교했다. 현재는 세병관만 남고 모두 헐렸으며, 옥터는 세병관 아래에 있다. 경상남도 통영시 세병로 27(문화동 62). 문의: 055-645-3336(태평동성당)
◇안동교구
△상주=아전을 다녀 교우의 어려운 일을 도운 박상근(마티아)는 상주관아의 옥중에서 목이 졸려 순교했다. 남문시장 근처에 터가 남아있다. 경상북도 상주시 성동로 17(성동동 632-1 상주남문청과). 문의 : 054-531-1784(남성동성당)
광주관구
◇전주교구
△전주 풍남문=윤지충(바오로)ㆍ권상연(야고보)ㆍ유항검(아우구스티노) 등 3위가 순교했다. 전북 전주시 완산구 전동성당길 54(완산구 전동 1-1). 문의 : 063-284-3222(전동성당)
△전주 감옥터=124위 중 유중철(요한)ㆍ유문석(요한)ㆍ이경언(바오로) 등 10위가 순교했다. 감옥터는 현재 남부종합병원(전 전북도청) 왼쪽 주차장 자리다. 전북 전주시 완산구 현무1길 20(경원동3가 14-2). 문의 : 063-284-3222(전동성당)
△전주 숲정이성지=이순이(루갈다)ㆍ유중성(마태오)ㆍ신태보(베드로) 등 7위가 순교했다. 이순이와 유중철(요한) 동정 부부의 얘기는 전 세계적으로 유명하다. 전북 덕진구 진북 2동 1034-13. 문의 : 063-255-2677(숲정이 안내실)
△전주감영 등지=김천애(안드레아)는 신유박해 때 체포돼 전주 감영으로 압송, 참수형을 받고 순교했다. 윤지헌(프란치스코)도 신유박해 때 체포, 한양으로 압송돼 의금부에서 마지막 문초를 받은 뒤 전주로 이송돼 1801년 10월 24일 능지처사형을 받고 순교했다.
△김제=김제 동헌에서는 호남의 사도 유항검의 자녀들을 가르쳤던 한정흠(스타니슬라오)이 참수형을 받았다. 형장터는 현재 김제초등학교 주변으로 추정된다. 전라북도 김제시 동헌4길 46-1(교동 7-3). 문의: 063-544-0151(요촌성당)
△고창=전라 교회 지도층이던 최여겸(마티아)은 개갑장터에서 참수를 당했다. 2004년 고창향토문화유산 제1호로 지정된 개갑장터는 지난해 최여겸 순교성지로 축복됐다. 전라북도 고창군 공음면 석교리 198. 문의: 063-563-1782(고창성당)
▲ 지난해 10월 축복식을 가진 전주교구 고창 개갑성지. 124위 중 최여겸(마티아, 1763~1801)이 개갑성지에선 순교했다. 평화신문 자료사진
오세택 기자 sebastiano@, 김유리 기자 lucia@, 백슬기 기자 jdarc@pbc.co.kr
원본 | http://www.pbc.co.kr/CMS/newspaper/view_body.php?cid=503380&path=2014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