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식
교회소식
교회소식

교회소식

신문방송서울대교구 정평위 "사회 공공성 강화해야"

작성자 : 문화홍보국 작성일 : 2020-06-09 조회수 : 255

서울대교구 정평위 "사회 공공성 강화해야"


2020-06-09 04:00



[앵커] 코로나19 사태는 우리 사회의 민낯을 여지 없이 드러냈습니다.

대표적인 문제가 바로 사회적 불평등입니다.

모두가 힘든 시간을 보내고 있지만, 사회적 약자들의 고통은 더 큰데요.

서울대교구 정의평화위원회가 우리 사회의 공공성 강화를 촉구했습니다.

보도에 장현민 기자입니다.


[기자] 코로나19 사태를 가톨릭교회의 시선으로 성찰하고 대안을 모색한 자료집이 나왔습니다.

서울대교구 정의평화위원회는 최근 발간한 사회현안 자료집에서 코로나19로 삶을 위협 받고 있는 사회적 약자들을 주목했습니다.

정평위는 요양병원과 콜센터 등 사회적, 경제적 취약계층이 모인 곳을 중심으로 집단감염이 일어난 점을 거론하며 “재난이 모두에게 평등하다는 생각이 잘못됐음을 보여줬다”고 지적했습니다.

정평위는 코로나19 확진자가 병실을 찾아 이동하다가 사망한 사례도 언급했습니다.

코로나19 피해가 극심했던 대구와 경북 지역엔 4만개가 넘는 병실이 있었지만, 5천명 가량의 확진자를 제대로 수용하지 못했습니다.

김윤 서울대 의대 교수는 “전체 병실의 90%를 차지하는 민간병원들이 병상을 내놓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비판했습니다.

서울대교구 정평위는 “의료체계의 공공성 붕괴로 약자들이 사회 안전망의 사각지대에 있었다”고 지적했습니다.

그러면서 “백신과 인공호흡기, 마스크 등 필수 의료장비에 대한 공공성도 강화해야 한다”고 제안했습니다.

실제로 의료 서비스가 대부분 민영화된 미국에선 비용 때문에 코로나19 검사나 치료를 받지 못한 사람들이 속출했습니다.

공공성 강화를 통한 건강권 보호는 가톨릭교회의 가르침과도 직접적으로 연결됩니다.

가톨릭교회교리서 2287항에는 “시민들의 건강을 돌보려면 의식주, 보건, 기초 교육, 직업, 사회복지 등이 갖추어지도록 사회가 도와야 한다”고 나와 있습니다.

서울대교구 정평위는 전염병을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전제 조건으로 기후위기 극복도 제안했습니다.

기후위기로 생태계가 변하면서 전염병 매개체가 늘고 있고, 전염병 대유행이 만성화 될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기 때문입니다.

프란치스코 교황 역시 코로나19 대응을 위해 취약계층을 보듬으며 기후위기 극복에 나설 것을 강조했습니다.

<프란치스코 교황 / 4월 22일 ‘지구의 날’ 50주년 교리 교육>
“비극적인 코로나19 대유행이 우리에게 보여주듯, 우리는 함께하고, 가장 취약한 이들을 돌봄으로써 전 세계적 도전을 함께 극복할 수 있습니다. 회칙 「찬미받으소서」는 ‘공동의 집을 돌보는 것에 관한 회칙’이라는 부제가 달려 있습니다. 우리는 공동의 집 돌봄에 대한 인식을 길러야 합니다.”

서울대교구 정평위는 마지막으로 “공공성이 바탕이 된 지속가능한 제도를 만들어야 앞으로 다가올 재난에 더 효율적으로 대처할 수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CPBC 장현민입니다.



cpbc 장현민 기자(memo@cpbc.co.kr)
원문링크: http://www.cpbc.co.kr/CMS/news/view_body.php?cid=780940&path=202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