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식
교회소식
교회소식

교회소식

시복미사 안내

작성자 : 홍기선 작성일 : 2014-08-06 조회수 : 1954


‘윤지충 바오로와 동료 순교자 123위 시복 미사’순서 해설


 

시복 미사 개관


 한국 천주교회 초기 순교자들, ‘윤지충 바오로와 동료 순교자 123위’의 시복식은 미사의 형태로 거행한다. 124위 순교자들을 복자품(福者品)에 올리는 지향으로 미사를 드리면서, 미사 안에서 시복 예식을 하는 것이다.


 시복 미사는 프란치스코 교황이 주례한다. 교황의 양 옆에서 공동 집전할 성직자는 천주교 서울대교구장 염수정(안드레아) 추기경과 교황청 국무원장 피에트로 파롤린 추기경이다.


 순교자들을 복자로 선언하는 시복 예식은 미사 초반, 참회 예식과 자비송을 바친 후에 시작한다. 예식에서 교황에게 시복을 청원할 성직자는 한국 천주교 주교회의 시복시성 주교특별위원회 위원장인 안명옥(프란치스코 하비에르, 천주교 마산교구장) 주교와, 124위 순교자 시복 건의 로마 주재 청원인으로 일해 온 김종수(요한, 로마 한인 신학원장) 신부다. 124위 순교자 시복은 주교회의가 국내 지역을 통합하여 추진해 왔으므로, 실무기구의 대표인 주교회의 시복시성위원회 위원장이 한국 천주교회를 대표해 시복을 청원하는 것이다.


 안명옥 주교의 시복 청원, 김종수 신부의 124위 약전(略傳, 소개문) 낭독에 이어 교황이 시복을 선언한다. 선언문은 “공경하올 하느님의 종들 윤지충 바오로와 123위 동료 순교자들을 ‘복자’라 부르고, 5월 29일에 그분들의 축일을 거행하도록 허락한다”는 내용이다.


 시복 선언에 이어 124위 복자화가 제막(除幕)되며 최초로 모습을 드러낸다. “새벽 빛을 여는 사람들”로 명명된 복자화는 가톨릭 미술 작가인 김형주(이멜다) 화백의 작품으로, 가로 3미터, 세로 2미터의 유화로 그려졌다. 신약성경의 요한 묵시록에 기록된 하늘나라의 영광을 모티브 삼아, 죽음에서 영원한 생명으로 건너간 순교자들의 모습을 묘사한 그림이다.


 복자화를 공개한 뒤 안명옥 주교는 한국 천주교회를 대표해 교황에게 감사 인사를 하고, 안명옥 주교와 김종수 신부는 교황과 평화의 인사를 나누며 시복 예식을 마친다.


 신앙과 덕행을 인정받은 사람이 복자가 되면 그의 출신 지역교회에 한해 ▲공적 공경을 드릴 수 있고, ▲축일(memorial day)을 거행할 수 있으며, ▲미사 경본과 기도문에 복자의 도움을 청하는 구절을 삽입할 수 있다. 이에 따라 16일 시복 미사에서는 ‘복자 윤지충 바오로와 동료 순교자들’의 이름이 한국 천주교회의 미사 중에 최초로 삽입된다.


 미사 중에 사용할 주요 언어는 라틴어, 한국어, 이탈리아어다. 교황은 라틴어로, 신자들은 한국어로 기도를 바친다. 교황의 메시지인 강론(설교)은 이탈리아어로 한다. 교황과 수행단에게는 한국어 기도문의 번역본이, 신자들에게는 라틴어 기도문의 번역본이 제공된다. 강론은 단락별로 순차 통역을 지원한다.


미사 전체 순서


 미사가 시작되면 프란치스코 교황, 교황청 수행단과 한국 천주교 수행단 성직자들이 중앙 통로로 행렬하며 입장한다. 교황과 함께 행렬할 한국 성직자들은 염수정 추기경(천주교 서울대교구장), 강우일 주교(한국 천주교 교황방한준비위원회 위원장 겸 주교회의 의장), 안명옥 주교(주교회의 시복시성주교특별위원회 위원장), 조규만 주교(한국 천주교 교황방한준비위원회 집행위원장)이다.


 행렬을 마치면 교황과 공동 집전자들은 제대 앞에 서서 성호경을 긋고, 죄를 반성하는 참회 예식과 자비송을 바친 뒤 순교자들을 복자품에 올리는 ‘시복 예식’을 거행한다. <예식 순서는 본 문서 1쪽 ‘시복 미사 개관’ 참조> 시복 예식을 마치면 통상적인 미사 순서대로 대영광송을 노래하고, 교황이 미사의 주제를 드러내는 본기도를 바친다.


 성경을 읽고 풀이하며 신앙을 고백하는 ‘말씀 전례’에서는 구약성경, 신약성경, 복음서를 읽는다. 구약성경은 “사람들이 보기에 의인들이 벌을 받는 것 같지만 그들은 희망으로 가득 차 있다”는 지혜서의 말씀을, 신약성경은 “어떤 것도 하느님의 사랑에서 우리를 떼어놓을 수 없다”는 로마 서간의 말씀을, 복음서는 “사람들이 하나가 되고 진리로 거룩하게 해주십시오”라는 예수님의 기도가 담긴 요한 복음서의 말씀을 읽는다.


 복음 낭독이 끝나면 교황의 메시지인 강론이 시작된다. 교황이 이탈리아어로 강론을 한 단락씩 나누어 하면 통역자가 한국어로 통역을 한다. 내용은 가톨릭 역사에서 124위 순교자의 삶과 죽음이 갖는 의미와 오늘날 신자들이 본받을 부분에 대한 것으로 예상된다. <원고 당일 배포>


 강론을 마치면 가톨릭의 전통적 기도인 사도신경을 바치며 신앙고백을 하고, 보편지향기도(신자들의 기도)를 바친다. 기도 주제는 ▲세상의 평화 ▲교황과 주교들, 사제들과 수도자들 ▲박해받는 교회 ▲순교자들의 모범을 통한 복음화 ▲우리나라 등 5가지이며, 신자들을 대표해 기도할 이들은 가톨릭 학교 학생, 사제직을 준비하는 신학생, 중국인 신부, 한국인 수녀, 성당 주일학교 교사다.


 예수님의 최후의 만찬을 기념하고 예수님의 몸을 나누는 ‘성찬 전례’는 빵과 포도주를 바치는 예물 봉헌으로 시작된다. 교황청 전례원은 미사에서 예물 봉헌은 한 가족이 하는 것으로 정한 바 있다. 이에 따라 시복미사에서 프란치스코 교황에게 예물을 드릴 봉헌자로는 입양가정이자 서울에서 커피 전문점을 운영하며 20년간 하루의 첫 매상을 지구촌의 가난한 이웃에게 기부해 온 바리스타 가족이 선발됐다.


 봉헌 예식이 끝나면 감사기도(하느님의 은혜에 감사하며 영광을 드리는 기도)를 바친다. 이 기도 중에는 예수님께서 십자가에 못 박혀 돌아가시기 전날 저녁에 제자들과 나눈 최후의 만찬을 기념한다.


 축성(祝聖)을 통해 예수님의 몸과 피로 변화된 빵과 포도주에 경배하고 나면 염수정 추기경이 ‘신앙의 신비여’를 라틴어로 노래한다. 이어 교황은 신자들이 성체성사(예수님의 몸과 피를 받아 모시는 예식)를 통해 하나가 되기를 기도하고, 염 추기경은 신자들이 하느님의 은혜를 받을 수 있도록 성모 마리아를 비롯한 성인들의 도움을 청하며 미사 기도문 중에 처음으로 ‘(윤지충) 바오로와 동료 복자들’의 이름을 부른다. 이어 파롤린 추기경이 낭독하는 기도문과 염 추기경의 마침 영광송으로 감사기도가 끝난다.


 예수님의 몸을 받아 모시는 영성체 예식은 주님의 기도, 평화의 인사, 하느님의 어린양, 영성체 순으로 진행된다. 교황 방한 준비위원회는 신자들의 영성체를 위해 밀 제병(성체) 18만 개, 성체분배 봉사자 9백 명을 준비한 상태다.


 영성체를 모두 마치면 교황은 신자들이 신앙 선조들과 같은 마음으로 살아가기를 기도하고, 마침 예식에 앞서 염수정 추기경이 한국 천주교회를 대표해 교황 방한과 시복식 주례에 감사하는 인사를 드린다. <원고 추후 배포> 이어 교황이 신자들에게 하느님의 복을 빌어주고 세상으로 파견하면서 시복 미사를 마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