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주교, 7월 1일에 사제 성화(聖化)의 날 지내
□ 2011년 7월 1일 금요일은 ‘예수 성심 대축일’이자 제17회 ‘사제 성화의 날’이다. 예수 성심 대축일은 최후의 만찬 때 성체성사를 세우시고 당신을 생명의 양식으로 내어주신 예수 그리스도의 거룩한 마음[聖心]을 공경하는 날로, 그리스도의 성체 성혈 대축일 다음 금요일에 지낸다. 교황 요한 바오로 2세는 1995년부터 예수 성심 대축일을 ‘사제 성화의 날’로 기념하도록 권고했다. 사제는 그리스도의 대리자로 축성되어 그리스도의 희생 제사인 미사를 봉헌하는 사람이다. 그렇기에 교회는 예수 성심을 공경하는 날에 사제직의 거룩한 소명을 되새기고, 사제들이 예수 그리스도를 닮아 살아가도록 기도하는 것이다.

.JPG)
▲인천교구의 2010년 사제성화의 날 미사에서 사제들이 유언장 갱신과 봉헌예식을 하고 있다. 사진제공=인천교구 홍보실
◎ 교구마다 사제 성화의 날 행사 다채
□ 사제 성화의 날인 7월 1일에는 교구별로 기념행사를 한다. 서울대교구는 이날 오전 11시 중림동 약현성당(중서울지역, 교구청 및 직능 담당 사제), 천호동성당(동서울지역), 11시 30분 대방동성당(서서울지역), 오전 10시 절두산 순교성지(학교법인)에서 행사를 한다. ▲동서울지역은 박준양 신부(가톨릭대 교수) 강의와 영화 <바보야> 상영 ▲서서울지역은 최승정 신부(홍은3동성당 주임) 강의 ▲학교법인은 김길수 전 대구가톨릭대 교수 강의와 절두산 순교박물관 관람을 마련했다.
□ 인천교구는 오전 10시 30분 인천 답동 주교좌성당에서 ‘쪽방촌의 슈바이처’ 고(故) 선우경식 전 요셉의원 원장(1945-2008)의 삶을 담은 영상을 상영한 뒤 교구장 최기산 주교의 주례로 미사를 봉헌한다. 이날 미사 때 사제들의 유언장 갱신식이 있다. 수원교구는 지난 23일부터 사제 성화를 위한 9일 기도를 바치고 있으며, 7월 1일에는 대리구별로 행사를 실시한다. 원주교구는 28일부터 7월 1일까지 경기도 가평 계성 푸른누리 수련원에서 ‘본당사목’을 주제로 사제 피정을, 1일에는 교구장 김지석 주교 주례로 미사를 한다.
□ 부산교구는 오전 10시 30분 부산가톨릭대 신학대학에서 교구장 황철수 주교 주례로 미사를, 오후에는 ‘감동적인 전례의 해를 보내는 사제들의 본당․특수사목 사례’를 주제로 그룹토의를 한다. 마산교구는 진주지구 사제들이 문산성당에서 사봉공소까지 도보순례를 하며, 기타 지구에서도 미사와 자체 행사를 진행한다. 안동교구는 사제들에게 지구별로 모여 교황 베네딕토 16세의 권고 <주님의 말씀>을 1박 2일간 함께 공부할 것을 권고했다.
□ 전주교구는 오전 10시 전주 중앙 주교좌성당에서 성시간을 갖고 교구장 이병호 주교 주례로 미사를 봉헌하며, 제주교구는 27일부터 7월 2일까지 이시돌 피정의 집에서 교구 사제단 피정을 실시한다. <행사내역은 평화신문 2011년 6월 26일자 기사 인용>
※ 사제의 복장으로 보는 사제직의 의미

▲ (왼쪽)사제가 장백의를 입고 허리에 띠를 매고 영대를 걸치고 있다. 영대는 목에 걸쳐 착용하는 것이 보통이지만, 부제는 왼쪽 어깨에서 비스듬히 빗겨 착용한다. (가운데)사제가 검은색 수단 위에 띠를 매고 어깨에 개두포를 착용하고 있다. (오른쪽)미사를 거행할 때 주례사제는 장백의 위에 제의를 입는다. 제의는 온유하고 겸손하신 예수님의 멍에와 사랑을 상징한다.
사제의 신원과 소명은 사제들이 사목활동과 전례 때 입는 복장을 통해서도 알 수 있다. 이 옷들은 교회의 공식 봉사자로서 받은 고유 임무를 드러내며, 하느님께 대한 예배 행위를 아름답게 하는 데 이바지한다. 사제 성화의 날을 맞아 사제 복장에 숨은 사제직의 의미를 알아본다.
- 사제 신원의 상징, 수단(soutane): 성직자의 신분을 표시하는 의복으로 목의 앞부분이 트여있으며, 흰색 로만 칼라를 목에 두르고 발목까지 길게 내려오도록 입는 옷. 평상시에 입거나 제의 밑에 받쳐 입으며, 하느님과 교회에 봉사하려고 세속에서는 죽었다는 뜻이 담겨 있다. 성직자의 신분에 따라 색깔을 달리하는데, 일반적으로 신부들은 검은색(여름에는 흰색), 주교와 대주교는 진홍색, 추기경은 붉은색, 교황은 흰색 수단을 입는다.
- 구원의 투구, 개두포: 전례복을 갖춰 입을 때 평상복의 목 부분을 가리는 흰 천. 아마포로 되어 있으며 어깨 위에 걸쳐 착용한다. 그 형태는 고대 로마인들이 착용하던 목도리에서 유래했다. 개두포를 걸칠 때 사제는 “주님, 제 머리에 투구를 씌우사 마귀의 공격을 막게 하소서”라고 기도한다.
- 공통의 거룩한 복장인 장백의: 사제가 미사 때 제의 안에 입는 발끝까지 내려오는 희고 긴 옷. 육신과 영혼의 결백, 마음의 순결과 새로운 생활을 상징한다. 장백의를 입을 때 사제는 “주님, 저를 결백하게 씻으시어 제 마음을 조찰케 하시고, 저로 하여금 어린양의 피로 결백하게 되어 주님을 섬기게 하소서”라고 기도한다.
- 결의와 성덕의 상징, 띠와 영대: 장백의를 입을 때 허리에 띠를 맨다. 장백의가 순결과 사랑, 포용을 의미한다면 띠는 굳은 결의, 악마에 대한 투쟁, 금욕과 극기를 상징한다. 한편 사제가 성무를 집행할 때 목에 걸쳐 무릎까지 늘어지게 매는 폭이 넓은 띠는 ‘영대’라고 한다. 영대는 성직자의 직책과 의무, 성덕을 상징한다. 부제는 영대를 왼쪽 어깨에 걸고 오른쪽 옆구리로 비스듬히 맨다. 띠를 맬 때는 “주님, 조찰함의 띠로 저를 매어주시고, 제 안에 사욕을 없이하시어 절제와 정결의 덕이 있게 하소서”, 영대를 걸칠 때는“주님, 주님께 봉사하기에 합당치 못하오니, 원죄의 타락으로 잃은 불사불멸의 영대를 제게 도로 주시어 주님의 영원한 즐거움을 누리게 하소서.”라고 기도한다.
- 제의: 미사를 거행할 때 장백의 위에 마지막으로 입는 반(半)원추형의 옷. 온유하고 겸손하신 예수님의 멍에(마태 11,29-30)를 상징하고 사랑의 덕을 표시한다. 제의는 십자가, 비둘기, 물고기, 밀 이삭, 포도 등 예수님과 성령, 성체성사를 상징하는 여러 무늬로 장식되어 있다. 전례시기와 축일에 따라 백색, 홍색, 녹색, 자색 등 고유한 색의 제의를 입는다. 홍색은 순교자의 피와 성령을, 백색은 영광과 순결과 기쁨을, 녹색은 연중시기의 희망을, 자색은 속죄와 회개의 정신을 상징한다.
* 출처: 경향잡지 2011년 2월호 ‘하느님 백성의 예배’ / 한국가톨릭대사전(한국교회사연구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