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식
교구와 언론
교구와 언론

교구와 언론

가톨릭 신문[성소주일 특집] 늦깎이 응답자에게 듣는다

작성자 : 문화홍보국 작성일 : 2018-04-18 조회수 : 1237




[성소주일 특집] 늦깎이 응답자에게 듣는다




발행일2018-04-22 [제3091호, 9면]



세상 모든 이들이 자신의 ‘길’을 찾고 있다. 사제 혹은 수도의 길, 혼인의 길. 다양한 성소(聖召), 하느님의 부르심에 응답하기에 적당한 나이는 몇 살일까? 나이가 많으면 무조건 포기해야 할까?

남녀 수도회 성소모임 담당자들의 말에 따르면, 최근 혼인 연령대만이 아니라 수도회 입회 연령대도 높아지고 있다. 개개인의 면담을 통해 미처 깨닫지 못한 성소를 식별하게 되면 대부분의 수도회는 그 부르심에 응답할 수 있도록 문을 열어주곤 한다. 많은 나이에도 불구하고 각 신학교에도 입학하는 이들의 수가 늘었다 줄었다를 반복하고 있다.

올해 성소주일을 앞두고 흔히 ‘늦깎이’라고 부르는, 뒤늦게 성소의 길을 찾은 이들의 목소리를 들어본다.


■ 34세 3학년 최현규 신학생

 제 삶의 체험 모든 것이 성소


“조금 돌아온 것 같지만, 돌아보면 그 길도 다 성소의 길이었습니다.”

수원가톨릭대학교 3학년에 재학중인 최현규 신학생(이냐시오·34·춘천교구 솔올본당)은 신학교에 들어와 사제성소를 준비하는 자신을 돌아보면서 “사제성소의 길 하나만 바라보는 것도 좋은 길이지만, 사제의 삶에 이어지는 수많은 것을 함께 바라보며 갈 수 있게 해주심에 감사한다”고 회고했다.

“교회에는 열심히 살아가는 평신도도 필요하잖아요. 열심한 평신도로 살아가겠습니다.”

대학시절, 최 신학생은 성소를 권유하는 주위 사람들에게 이렇게 답하곤 했다. 남들 못지않게 대학생활을 즐겼고, 졸업 후 유명 은행에서 잠시 일하다 더 깊이 공부하기 위해 대학원에 입학했다. 그러나 마음 한 구석에서 사라지지 않는 의문이 있었다. 바로 “참 행복은 무엇일까”하는 질문이었다. 2012년 ‘선택 주말’에 참여하면서 이 고민을 성찰했고 자신이 “교회 안에 속해있을 때 더 큰 행복을 느낀다는 것”을 깨달았다.

성소를 다시 깨닫고 걸어온 길은 쉽지 않았지만, 그때마다 일으켜 세워준 사람들이 있었다. 대학원 수료 후 재도전한 신학교에서 또 다시 떨어졌을 때도 본당신부의 제안으로 사무장으로 일하면서 신학교 입학을 준비했고, 다음해에 입학할 수 있었다.

입학 후에는 설암(舌癌)이 발견돼 1년간 휴학했다. 치료하던 중에 춘천 죽림동주교좌성당 성직자묘역에서 우연히 만난 김운회 주교의 격려에 힘을 내 이겨내기도 했다.

‘공동체와 함께 잘 노는 신부’가 되고 싶어 교구 사제의 길을 택했다는 최 신학생은 자신은 “여전히 성소의 과정 중에 있다”며 “신학교에 와서 배우고 만나고 체험하는 일들은 물론 신학교에 오기 전 경험한 일들도 하나하나가 다 성소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신학교에 들어오기 전 청년들의 고민을, 사회생활을 경험하게 해주신 것은 따뜻하게 마음을 나누면서 교회에 봉사하는 사람이 되라고 이끄시는 것 같습니다. 앞으로도 하느님께서 주신 역할을 발견해 나가면서 성소의 길을 가고 싶습니다.”



<이승훈 기자>
원본링크: http://www.catholictimes.org/article/article_view.php?aid=2936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