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장 돋보기] 친환경 뉴딜 정책
서종빈 대건 안드레아(보도제작부 기자)
2020.06.07 발행 [1567호]
![]() |
영토는 서울 경복궁 면적의 1.3배. 인구는 1000명 남짓. 영토의 절반은 녹색 정원이고 대형 홀의 지붕은 태양광 패널로 덮여 있다. 1인당 200W의 녹색 에너지 생산 국가로 세계 최고 수준이다. 경찰차는 물론 정원 방문객은 모두 전기 자동차를 이용한다. 탄소 중립국으로 자신들이 사용하는 이산화탄소만큼 나무를 심는다. 나무를 심을 땅이 없자 외국에 삼림 지대를 확보해 가꾸고 있다. 폐기물의 60%를 재활용하고 있으며 앞으로 일회용 플라스틱 제품은 판매하지 않기로 선언했다. 세계에서 가장 작은 나라, 교황청 즉 바티칸 시국이다.
프란치스코 교황은 환경 문제에 대해서는 그 누구보다 단호하고 엄격하다. 2013년 3월 19일 즉위 미사 강론에서 전 세계인에게 이렇게 물었다. “오늘날 우리는 피조물과 잘 지내고 있지 못합니다. 그렇지 않습니까?” 그러면서 이렇게 말했다. “여러분은 피조물 전체를, 피조물의 아름다움을 보존해야 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파멸의 길이 열릴 것입니다.” 2년 뒤 교황은 가톨릭교회 역사상 처음으로 생태회칙 「찬미받으소서」를 반포해 기후 변화로 위태로운 공동의 집 ‘지구’를 지키자고 호소했다. 이어 환경 오염 행위를 ‘생태적 죄’로 규정하고 ‘생태적 회개’를 촉구했다.
코로나19발 경제 침체를 벗어나기 위해 정부가 일자리 창출 프로젝트로 한국판 친환경 즉 ‘그린 뉴딜(Green New Deal)’ 정책을 추진하기로 했다. 기후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지속 가능성에 무게를 둔 저탄소 경제 구조를 만들어 일자리와 시장을 창출하겠다는 계획이다. 친환경 뉴딜의 성공 조건은 무엇일까? 교황은 “모든 위기는 기회가 될 수 있다”고 했다. 그러면서 “위기에 함께 공감하고 연대하는 희망”을 제시했다. “지금, 여기, 삶의 자리에서….” 생태 위기에 응답하기 위해 우리는 어떤 실천을 해야 할까?
원문링크: http://www.cpbc.co.kr/CMS/newspaper/view_body.php?cid=780604&path=202006